본문 바로가기
Patch

CLIP STUDIO PAINT JP v1.6.7 한글패치

by Ariette 2017. 9. 25.

※ 한글 패치 후 외부 플러그인(유, 무료 모두)이 작동하지 않는 오류가 보고되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해당 오류는 제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해결법을 찾을 때까지 한동안은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

클립 스튜디오 페인트(Clip Studio Paint, 이하 CSP) 일본어판 사용자를 위한 한글 패치입니다.
글로벌 한국판 사용자 분들을 위한 패치가 아니므로 주의해주세요. (종종 관련된 문의가 들어옵니다.)
본 패치는 때때로 업데이트되니 항상 최신 수정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업데이트 안내 트위터 : @CSP_JpKr

최신 수정 : 2017년 10월 14일

패치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해두었으니 귀찮더라도 꼭 읽어주세요.
앞으로는 본문에 이미 적어둔 문제에 대해서는 질문을 하셔도 답변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패치 제작에는 SDL Passolo와 VADEUX님의 ClipStudio L10N이 사용되었습니다.
제작을 도와주신 Xelloss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주의 사항

  • 이 패치는 클립 스튜디오 공식 한글판의 한글 언어파일을 일본어판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포팅한 것입니다. 따라서 번역문에 대한 저작권은 CELSYS사에 있으며, 추가 번역 제안 및 오역 신고는 되도록 CELSYS측에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NeroNero님이 배포하는 한글 패치와는 전혀 다른 패치입니다.
  • 이 패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 저는 본 패치를 유지, 보수할 의무가 없으며, 언제든지 개인 사정으로 패치 제작을 그만둘 수 있습니다.


2. 적용 방법

한글 패치 전에, 설치된 클립 스튜디오 페인트의 버전과 패치 버전이 동일한지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패치 버전이 맞지 않아 구버전 설치파일이 필요한 경우 여기서 받아주세요.

CLIP STUDIO PAINT v1.6.7 JP to KR 171014.exe

2-1. CSP 한글 패치를 처음 설치하시는 분

CSP를 설치하신 후 위 패치 파일을 받아 한글패치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설치해 일본어로 사용 중이던 분들도 별도의 삭제/재설치 과정 없이 그대로 한글패치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첫 패치이므로 사용자 설정 한글화를 위해 반드시 사용자 설정 체크박스에 모두 체크해주세요.
사용자 설정 한글화 기능에 대해서는 본문 3번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2. CSP v1.5.x ~ v1.6.6 버전 한글패치를 사용하다 업데이트 하시는 분

패치 버전과 CSP 버전이 같아지도록 우선 CSP를 업데이트한 후 한글패치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업데이트 후 새 도구가 추가되었다면, 패치 설치 중 '사용자 설정 - 도구' 에 체크하세요.
새 도구가 추가되었는지의 여부는 패치 노트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3. Installer를 이용할 수 없는 분

특별한 사정으로 Installer 를 이용할 수 없는 분은 아래 7z파일을 받아 수동으로 패치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CSP 설치 시 일본어가 아니라 한국어를 선택하고 설치 후 파일을 덮어씌우셔야 합니다.

CLIP STUDIO PAINT v1.6.7 JP to KR 171014.7z

Mac 유저분들은 아래 접힌 글을 참고해 패치해주세요.


3. 사용자 설정의 한글화에 대해

본 패치에는 사용자 설정을 한글화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도구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한 도구는 한글화 대상에서 제외되며, 기본 도구 이름만을 한글화하고 단축키를 보존합니다.
한글화 방식은 여기서 사용하는 방식 그대로며, 자세한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해당 글을 참고하세요.

모든 사용자 설정은 한글화시에 기존 파일의 백업본을 생성합니다. (단 이미 백업본이 존재할 경우 새로 백업하지 않습니다.)
이 백업본은 [내 문서\CELSYS\CLIPStudioPaintVer1_5_0] 의 각 폴더에 파일명.old 의 형식으로 저장되며, 문제가 발생할 시 .old 부분을 지워 패치 전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오토 액션만 예외적으로 user_old.laf 형태로 백업하며, 이전 세트가 필요 없을 경우 해당 파일을 삭제하거나 CSP에서 기존 액션 세트를 삭제하시면 됩니다. (오토액션 이름만 임의로 수정할 방법이 없어 부득이하게 이런 형태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세트에서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한글화된 세트로 액션을 이동하신 후 삭제해 주십시오.)

패치 방식 변경으로 더이상 아래의 방식이 필요 없어졌지만, 자동 한글화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유저분들을 위해 남겨둡니다.
맥(OS X) 유저이거나, 몇몇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자동 한글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아래의 방식대로 사용자 설정을 한글화할 수 있습니다만, 이 경우 사용자 설정이 초기화됩니다.


4. 클립 스튜디오(CS) 한글화에 대해

글로벌판과 일본어판이 통합됨에 따라 이번 버전부터 완벽하게 한글화된 클립 스튜디오를 지원합니다.

인스톨러를 통해 패치를 설치할 경우 설치 과정에서 한국 ASSET을 사용할지, 일본 ASSET을 사용할지 선택하셔야 합니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 클립 스튜디오 프로그램 자체는 한글화가 됩니다.
다만 소재장터를 어느쪽을 사용할지 선택하는 것인데, 한국 ASSET 선택시 글로벌판과 같은 사양으로 동작하며, 일본 ASSET을 선택하면 글로벌 ASSET에서 이용할 수 없는 여러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대신 소재 장터를 일본어로 이용해야 합니다.

ASSET의 국적은 최초 패치 후에도 얼마든지 수동으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7z 파일을 이용해 수동으로 패치하실 분들 및 설치 이후 설정을 변경하실 분들은 다음의 방법을 따라해주세요.

  1. 먼저 CS가 실행 중이라면 종료합니다.
  2. CS의 리소스 폴더(기본 C:\Program Files\CELSYS\CLIP STUDIO 1.5\CLIP STUDIO\resource\korean)에 들어갑니다.
  3. 둘 중 사용하고 싶은 쪽의 이름을 '5704E805-3428-4095-8D0D-77ED48B10F70' 로 변경(뒤에 -XX를 삭제)합니다.
  4. 파일 이름을 변경한 후 CS를 재시작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쪽의 파일은 후에 변경할 생각이 없다면 삭제하셔도 무방합니다.
  5. -JP는 일본 ASSET, -KO는 한국 ASSET에 연결합니다.


5. 마치며...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글로벌판과 통합된 줄 모르고 그냥 평소처럼 패치를 만들다가 잘못해서 뻘짓을 좀 하는 바람에 잠시 현타가 와서 한동안 손을 놓고 있었네요ㅠㅠ

비록 저로 하여금 뻘짓을 하게 하였으나, 어쨌든 글로벌판 통합은 글판 유저에게도 일판 유저에게도 희소식입니다.
글판 유저는 드디어 일판과 마찬가지로 빠른 업데이트를 받아볼 수 있게 되어 이득이고, 일판 유저 입장에서는 클튜가 드디어 네이티브로 한국어를 지원한다는 뜻이니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

본래 제가 제작하는 이 한글 패치는 '공식 한국어판의 언어 파일을 일본어판에서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다만 글판과 일판의 버전이 달라 문자열의 구성이 다르고, 일본어판에만 있는 새롭게 추가된 문자열도 있기 때문에 한국어판 → 일본어판 이식이 그리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동안은 제가 수동으로 버전 차이에 따라 달라진 구성을 서로 맞추어 수정하고, 새로 추가된 문자열을 추가 번역해 패치를 배포하였습니다만,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제가 그리 부지런한 편이 못 되어서(...) 늘 항상 오래 기다리셔야 했죠.

하지만 이제 글판과 일판의 버전이 같아졌으니, 그 과정이 놀랄만큼 쉬워져서 지금보다 훨씬 빠르게 패치를 배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그 과정을 자동화해서 거의 실시간으로 패치를 만들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건 물론 해 봐야 알겠지만요...

어쨌든 확실한 건 지금 보다는 빨라집니다!! (중요)

+ 글판/일판이 통합 되며 패치 방식이 다소 달라졌기 때문에 이번 패치는 버그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발견하신다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한글 패치 후에 도구 등은 정상적으로 한글화가 되지만 본메뉴가 한글화되지 않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보통 다음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자동 한글 패치 프로그램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클립 스튜디오 페인트를 한국어로 재설치(기존 사용하던 설정 그대로 재설치) 후 자동 한글 패치를 적용
    3. 클립 스튜디오 페인트를 한국어로 재설치(기존 사용하던 설정 그대로 재설치) 후 수동 패치
우선은 자동 한글 패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관리자 권한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도록 설정을 바꿔 두었습니다.
그 이전에 받으신 분들은 새로 받으시거나, 필히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시기 바랍니다.


UPDATE LOG

//20160604 - 데코레이션 브러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 수정, 소재 인스톨러 번역(x64 only), 한글패치 Installer 추가, 소재 인스톨러 프로그램은 수정 후 테스트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생길 경우 제보 바랍니다.
//20160605 - Installer에 도구 한글화 기능 추가, 이 기능은 Windows 한정이며 추가 번역은 없으므로 MAC 유저용 7z파일은 따로 배포하지 않습니다.
//20160607 - 컬러 세트, 오토액션, 워크스페이스 외 사용자 설정 관련 추가 한글화, 이미지 버튼 한글화, 파일 확장자 설명 한글화, 그 외 잡다한 것들 다수 한글화, Installer 구조 개선, 32비트 지원, 소재 인스톨러/언인스톨러 롤백
//20160608 - 그라데이션 세트 한글화
//20160818 - 클립 스튜디오 버전 체크 기능 추가
//20160824 - 사용자 설정 한글화 여부를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수정, 패치 완료 후 CSP를 실행하는 기능 추가
//20161029 - 애니메이션을 APNG로 내보내는 기능 및 오토 액션 관련 문자열 번역, 플러그인을 최신버전으로 교체
//20161216 - CLIP STUDIO 프로그램 영문 언어파일 포함, BookViewer 영문 언어파일 포함, 버전체크 방식 변경
//20170203 - 사용자 도구 한글화 기능 오류 수정, 도구 번역문을 공식 한글판과 같도록 변경
//20170416 - 클립 스튜디오 런쳐 일부 한글화(번역률 약 40%), 소재 폴더 이름이 이상해지는 문제 수정, OpenToonz 관련 문자열 번역, 그외 자잘한 버그 수정
//20170728 - 부속 프로그램 일부 한글화, 제본 관련 일부 문자열 번역, 3D 뷰어 관련 문자열 번역
//20170925 - 부속 프로그램 전체 한글화, 글로벌판-일본어판 통합 대응
//20170926 - 클립 스튜디오 번역 관련 버그 수정, 버전 체크 경고 문구 구문 오류 수정
//20171014 - 클립 스튜디오 일본어 ASSET 사용과 관련된 치명적인 오류 수정, 자동 패치 프로그램 사용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도록 수정

댓글